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토종 OTT, 유인촌 장관의 약속 실현! 국내 업계와 협력하여 동남아시아 진출 방안 모색

테스트중Alt
출처 : 뉴시스

유인촌 “토종 OTT 살리는 것 문체부 목적…아시아 국가 펀드 시도 해 볼만”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달 ‘영상산업 도약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공언한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찾아가겠다”는 약속을 지켰다.

15일 국내 OTT 대표와의 간담회를 연 유 장관은 “토종 OTT를 살리는 것이 (문체부의) 목적 중 하나다. 콘텐츠 전쟁의 시대가 됐는데 변화한 환경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지금 상황을 해결 안해주면 또 뒤처진다”며 네덜란드 순방 후 바로 간담회를 추진한 배경을 설명했다.

“제가 여러 인터뷰에서 내년에 드라마, 영화 등 이 판이 활기있게 돌아가는 걸 느끼게 해주자고 이야기를 많이 했어요. K-콘텐츠가 경쟁력 있는 이 시점에 토종 OTT가 유럽이나 미국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동남아시아라도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날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한 현장간담회에는 박태훈 왓챠 대표를 비롯해 이태현 웨이브 대표, 최주희 티빙 대표, 김성한 쿠팡플레이 대표 등이 참석해 넷플릭스 등 해외 OTT에 밀리고 있는 국내 업계에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제작자와 플랫폼이 상생하는 지원”이 화두

간담회에서 화두가 된 부분은 “제작자와 플랫폼이 상생하는 지원”이었다.

박태훈 왓챠 대표는 “플랫폼에 직접 지원을 하게 되면 플랫폼이 투자할 곳이 콘텐츠다보니 제작 지원도 할 수 있는 선순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고 이태현 웨이브 대표는 “제작사 2~3개를 OTT 플랫폼과 매칭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면 (펀드의 지원)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에 대한 토론

앞서 유 장관이 지난달 발표한 1조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에 대해서도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다.

유 장관이 펀드를 통한 지원에 대한 의견을 묻자 대부분의 대표들은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겠다는 계획은 매우 환영한다”면서도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자막, 음악 해외 사용 저작권 처리 등 로컬라이징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며 ‘로컬라이징 지원’을 강조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동남아시아에서도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은데 글로벌 플랫폼이 이를 가져가다보니 고민이 깊은 걸로 알고 있다”며 “이에 대해 한국만 국한 할 것이 아니라 아시아 국가 펀드를 만들어 연계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에 강수상 문체부 미디어정책국장은 “글로벌 유통과 관련해서는 현재 50억원 규모의 로컬라이징 지원 사업이 있고 앞으로 이 부분을 더 키워서 준비하겠다”며 “동남아와도 비즈니스 구조 연계 사업을 만들고 있는데 내년 초나 중반 정도에 준비하게 될 것 같다. 만드는 과정에서 같이 참여한다면 좋을 것 같다”고 답했다.

유인촌 장관과 강 국장의 긍정적인 반응

유인촌 장관은 “말한 내용 가운데 펀드 투자 결정을 신속하게 하는 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며 “아시아 국가 펀드 또한 시도해 볼만한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미 글로벌화 돼 있어서 금융 등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이에 강 국장은 “(아시아 국가 펀드는) 내년에 당장 진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며 토론 진행

이 밖에도 이날 현장에서는 OTT 구독료 소득공제,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등 세금 공제를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유 장관은 “소득공제의 경우 플랫폼의 매출 내용이 공개돼 걱정을 많이 했다”며 참여 의사를 물었고 대부분의 플랫폼이 “충분히 논의가 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인촌 장관은 토종 OTT를 살리는 것이 문체부의 목적 중 하나이며, 변화한 환경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지금 상황을 해결 안해주면 또 뒤처진다고 말했다. 유인촌 장관은 K-콘텐츠가 경쟁력 있는 이 시점에 토종 OTT가 유럽이나 미국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동남아시아라도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유 장관이 지난달 발표한 1조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에 대해서도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다. 유 장관이 펀드를 통한 지원에 대한 의견을 묻자 대부분의 대표들은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겠다는 계획은 매우 환영한다”면서도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자막, 음악 해외 사용 저작권 처리 등 로컬라이징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며 ‘로컬라이징 지원’을 강조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동남아시아에서도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은데 글로벌 플랫폼이 이를 가져가다보니 고민이 깊은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동남아 국가 펀드를 만들어 연계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에 강수상 문체부 미디어정책국장은 “글로벌 유통과 관련해서는 현재 50억원 규모의 로컬라이징 지원 사업이 있고 앞으로 이 부분을 더 키워서 준비하겠다”며 “동남아와도 비즈니스 구조 연계 사업을 만들고 있는데 내년 초나 중반 정도에 준비하게 될 것 같다. 만드는 과정에서 같이 참여한다면 좋을 것 같다”고 답했다.

유인촌 장관은 “말한 내용 가운데 펀드 투자 결정을 신속하게 하는 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며 “아시아 국가 펀드 또한 시도해 볼만한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미 글로벌화 돼 있어서 금융 등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이에 강 국장은 “(아시아 국가 펀드는) 내년에 당장 진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이날 현장에서는 OTT 구독료 소득공제,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등 세금 공제를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유 장관은 “소득공제의 경우 플랫폼의 매출 내용이 공개돼 걱정을 많이 했다”며 참여 의사를 물었고 대부분의 플랫폼이 “충분히 논의가 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유인촌 장관은 토종 OTT를 살리는 것이 문체부의 목적 중 하나이며, 변화한 환경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지금 상황을 해결 안해주면 또 뒤처진다고 말했다. 유인촌 장관은 K-콘텐츠가 경쟁력 있는 이 시점에 토종 OTT가 유럽이나 미국은 아니더라도 적어도 동남아시아라도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했다.

앞서 유 장관이 지난달 발표한 1조원 규모의 ‘K-콘텐츠 전략펀드’에 대해서도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다. 유 장관이 펀드를 통한 지원에 대한 의견을 묻자 대부분의 대표들은 “펀드를 조성해 투자하겠다는 계획은 매우 환영한다”면서도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는 자막, 음악 해외 사용 저작권 처리 등 로컬라이징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며 ‘로컬라이징 지원’을 강조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동남아시아에서도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많은데 글로벌 플랫폼이 이를 가져가다보니 고민이 깊은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주희 티빙 대표는 동남아 국가 펀드를 만들어 연계하면 좋을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에 강수상 문체부 미디어정책국장은 “글로벌 유통과 관련해서는 현재 50억원 규모의 로컬라이징 지원 사업이 있고 앞으로 이 부분을 더 키워서 준비하겠다”며 “동남아와도 비즈니스 구조 연계 사업을 만들고 있는데 내년 초나 중반 정도에 준비하게 될 것 같다. 만드는 과정에서 같이 참여한다면 좋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유 장관은 “말한 내용 가운데 펀드 투자 결정을 신속하게 하는 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라며 “아시아 국가 펀드 또한 시도해 볼만한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이미 글로벌화 돼 있어서 금융 등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내놨다. 이에 강 국장은 “(아시아 국가 펀드는) 내년에 당장 진행하는 것은 어렵지만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이날 현장에서는 OTT 구독료 소득공제,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등 세금 공제를 중심으로 플랫폼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기도 했다.

유 장관은 “소득공제의 경우 플랫폼의 매출 내용이 공개돼 걱정을 많이 했다”며 참여 의사를 물었고 대부분의 플랫폼이 “충분히 논의가 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