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극시’로 문학의 관념을 깨는 이지아, 현대 한국 문학의 파괴자

테스트중Alt
출처 : 뉴시스

고독한 시인이자 실험적인 작가, 이지아: 한국 문학의 관습을 깨다

이지아, 현대에 ‘국시’를 쓰는 유일한 한국 작가

대한민국 서울 – 이지아는 고독한 시인이자 문단의 아웃사이더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희곡 형식의 시인 ‘국시’를 쓰는 유일한 한국 작가로, 문학에 대한 진지한 열정으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 왔습니다.

이지아 시인이 문학계에서 인정을 받기까지 15년이 걸렸습니다. 2000년 월간 문예지 ‘월간문학’에서 희곡으로 신인상을 수상하고, ‘쿨투라’에서 시로 신인상을 받기까지 또 15년이 걸렸습니다. 이른 결혼과 육아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결국 “내 인생을 바치고 싶은 것은 문학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합니다.

“저는 예술에 조금 미쳤던 것 같아요.”

이지아 시인은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국시’의 세계를 탐험하다

문학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대학 시절에도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대학 진학 대신 취업을 선택했다. 하지만 야학에서 공부하던 중 김수영의 시를 접하고 희곡과 시를 쓰는 일에 깊이 빠져들게 된다. 이때 쓰기 시작한 희곡과 시가 지금의 ‘국시’ 스타일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이지아 시인은 데뷔 시집 ‘오뚝이’부터 ‘이렇게 푹신푹신’과 최근 출간한 ‘아기 늑대와 함께 걷다’까지 꾸준히 ‘국시’를 시집에 담아왔습니다. 대중적이지 않은 다양한 형식의 시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

“시를 쓰는 것은 제가 세상과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문학이 통념에서 벗어나거나 쉽게 이해되지 않는 형식일지라도 그런 대화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라고 설명했다.

관습을 깨고 인식에 도전하다

최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이지아 시인은 시집에 담긴 다양한 실험과 접근 방식에 대해 이야기했다.

‘번역할 수 없는 혼성인격과 국시’라는 제목의 그녀의 ‘국시’ 희곡 중 한 장면은 다음과 같다.

“5. 약속을 하자
등장인물: 도마, 냉장고, 충전기, 물티슈
위치 식당 내부
(…)
물티슈: 하지만 우리는 고객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도마: 무엇이 될 수 있고 무엇이 될 수 없는지.
냉장고: 손님이 오면 주인이 오죠.
충전기: 주인이 도착하면 셰프가 온다.
물티슈: 그것이 우리가 존재하는 방식입니다.”

‘국시’는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습니다. 서정시나 서사시는 잘 알려져 있지만, ‘국시’는 그리스 비극이나 셰익스피어를 제외하면 시를 떠올렸을 때 바로 떠오르는 장르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저는 형식을 가져오되 그 형식에 얽매인 관습을 깨려고 노력합니다.”

이지아 작가는 설명했습니다.

그녀의 시는 크게 두 가지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너무 좋다”와 “너무 이상하다.”

‘이상하다’, ‘어렵다’와 같은 단어는 이지아 시인의 시를 설명할 때 자주 쓰입니다. 독자들은 그녀의 ‘국시’에서 알 수 없는 이미지와 유머러스한 요소의 조합에 종종 당혹감을 느끼곤 합니다.

“인위적인 눈물이 폭풍처럼 쏟아지면 호랑이 사냥을 떠나자”(시 ‘이미지와 나’ 중)

전개되는 서사와 문장이 당혹스러울 수 있지만 이는 의도된 것이다. “이미지가 너무 선명하면 오래 지속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그녀는 설명합니다. 이지아는 단어를 바꾸고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끊임없이 도전합니다.”

이지아 시인은 시집을 읽다 보면 시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시의 본질을 파악했다는 생각에 기쁜 마음으로 책을 덮습니다.

“됐어요. 이 정도면 충분하다.”

◆ 뉴스 출처: 뉴시스, 신재우 기자 글, [당신의 이름] 번역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