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건설사들 위기에 부동산 PF 발, 경제 파국 우려

테스트중Alt
출처 : 뉴시스

결론

건설업 및 금융업에 미치는 영향

건설업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연쇄 위기 가능성에 대한 우려는 건설업과 금융업 모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먼저, 부동산 경기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다른 건설사들도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여 부도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 특히 부동산과 건설업의 체력이 이미 약화된 상황에서 건설사 도산이라는 도미노 현상으로 이어지는 파급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PF 부실화의 파급효과는 건설업계를 넘어 금융권 등 실물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KIS 투자적격등급을 보유한 국내 16개 건설사의 PF 보증규모는 9월말 기준 28.3조원으로 ’10년 대비 75%나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PF 보증 규모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5조 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20년까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20년 주택시장 호황 이후 다시 급증했습니다.

건설사 도산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 12월 기준 올해 도산한 건설사는 총 19곳으로 3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중 종합 건설사가 8개, 전문 건설사가 11개입니다. 전문건설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규모가 큰 종합건설업체의 부도 건수가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건설업체의 상황은 2021년에도 비슷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건설업의 위기로 인해 이들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 금융기관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 캐피탈사, 증권사 등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에 비해 위기감이 더 큰 상황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총 잔액은 134조 3천억 원, 연체율은 2.42%입니다. 이 중 은행과 보험사의 잔액은 각각 44.2조 원, 43.3조 원으로 전체 잔액의 65%를 차지했습니다. 은행과 보험사의 연체율은 각각 0%, 1.11%를 기록했습니다.

제2금융권의 상황은 특히 심각합니다. 증권사의 대출 잔액은 약 6조3000억원이지만 연체율은 13.85%에 달한다. 대출 잔액이 9조 8천억 원에 달하는 저축은행도 연체율이 5.56%에 달합니다. 카드사, 캐피탈사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대출 잔액은 26조 원, 연체율은 4.44%를 기록했습니다.

.

또한, 실제 착공하지 않고 ‘브릿지론’ 상태로 자금을 차입한 사업장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브릿지론은 건설사가 공사 계약을 체결한 후 공사대금을 받기 전까지 금융회사로부터 빌리는 자금을 말합니다. 한국금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전체 PF 대출에서 브릿지론이 차지하는 비중은 저축은행이 58%로 가장 높았고, 캐피탈사 39%, 증권사 33% 순으로 나타났다. 착공 전에 사업 타당성이 떨어지면 부실 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동성 공급과 선제적 구조조정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과 부실기업에 대한 선제적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공사비 상승세가 유지될 경우 올해 건설업계의 부실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건설업계의 악화된 상황을 강조했다. 그는 “건설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 내년 이후 건설사 전반의 부실이 심화될 것이므로 대응책이 필요하다”며 대응책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또 “정상적으로 영업 중인 전문-중소 건설업체의 연쇄 도산과 부실을 막기 위해 공정한 생태계를 위한 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건설업 유동성 공급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건설업과 부동산 PF의 연쇄적 위기는 건설업과 금융산업의 안정성에 심각한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건설사 부도 증가, 금융권 연체율 상승, 브릿지론 우려 등은 위기로 인한 잠재적 여파를 완화하기 위한 유동성 공급과 선제적 구조조정 대책이 시급함을 시사합니다.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