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윤석열 조기 대선 금지, 친윤계의 딜레마

윤석열 조기 대선 금지, 친윤계의 딜레마
출처 : 경향신문

조기 대선 언급 금지: 친윤계의 딜레마와 정치적 상황

윤석열 대통령이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을 금지하고 있는 가운데, 친윤석열계와 대통령실 참모들은 조기 대선에 대한 고민에 빠져 있다.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은 윤 대통령의 파면을 전제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강성 지지층으로부터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친윤계는 높은 탄핵 인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대선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의힘 내 조기 대선 언급의 불문율

2025년 2월 5일, 경향신문의 취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힘 내에서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은 불문율이 되었다. 한 친윤계 의원은 기자에게 “지금 탄핵을 기정사실화하고 대선을 언급하는 사람은 나쁜 놈”이라고 전하며, 현재는 국민의힘 전체가 윤 대통령의 탄핵을 막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조기 대선에 대한 언급이 지지층의 원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기 대선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차이

이번 조기 대선 상황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 다르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 의원은 “이번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르다”며, “머리를 드는 순서대로 날아간다”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머리를 든다’는 표현은 탄핵 인용 전 대선 출마를 의미하며, 이는 출마 선언을 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미리 몸을 푸는 대선 주자들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강경 지지층의 영향력

국민의힘이 조기 대선을 언급할 수 없는 배경에는 강경 지지층이 있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국회에서 탄핵안이 의결되었지만, 보수 지지층은 오히려 결집하며 윤 대통령 수호에 나섰다. 이러한 보수 결집 현상으로 국민의힘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친윤계 중심의 당 지도부 체제도 유지되고 있다. 강경 지지층은 탄핵 국면에서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문수 장관의 조기 대선 관련 발언

최근 여론조사에서 여권 대선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대선 관련 언급을 극도로 삼가고 있다. 그는 전날 국회에서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조기 대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단정할 수 없다”며, “대선 출마는 검토하거나 생각한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탄핵이 인용되면 출마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도 “지금 그런 말을 하면 대통령과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내 양심에도 맞지 않는다”고 답했다.

대통령실의 불확실한 거취와 정치적 상황

대통령실 참모들도 현재 거취를 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실 내에서는 “지금 떠나는 건 탄핵을 가정하는 것이다”, “지금 일자리 찾아 떠나면 배신자로 낙인찍힐 수 있다”는 등의 말들이 나오고 있다. 윤 대통령의 탄핵 인용과 기각에 대한 예상과 입장이 엇갈리지만, 탄핵을 공개적으로 가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대선 준비의 필요성과 중도층의 지지

하지만 국민의힘 내에서는 빨리 대선을 준비해야 한다는 우려도 수면 아래에서 나오고 있다.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중도층의 지지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있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탄핵이 인용되면 윤 대통령 수호 얘기는 순식간에 사라져 버릴 것”이라며, “강경 지지층에 너무 휩쓸려 가면 대선을 할 때 회복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친윤계의 딜레마와 향후 전망

결국, 친윤계는 조기 대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지만, 강경 지지층의 반발이 두려워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민의힘은 현재의 정치적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중도층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조기 대선 언급은 국민의힘의 지지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치적 위험을 동반할 수 있는 만큼, 향후 이들의 전략이 어떻게 변화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