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서울대교구, 1000명의 사제 시대 개막!

서울대교구, 1000명의 사제 시대 개막!
출처 : 뉴시스

달성된 이정표: 서울대교구, 1,000번째 사제 맞이

명동성당에서 축하 속에 26명의 새 부제 서품식

천주교 서울대교구가 1,000번째 사제 서품이라는 가톨릭 공동체의 뜻깊은 이정표를 세웠습니다. 이 역사적인 순간은 지난 7월 7일 명동성당에서 26명의 신임 부제를 사제로 서품하는 예식을 거행하며 기념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대교구의 유구한 사제 서품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2025년 1월부터 대교구의 사제 수는 추기경 1명, 대주교 1명, 주교 3명, 몬시뇰 4명을 포함해 총 1,000명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번 서품식 이전까지 서울대교구의 사제 수는 974명으로, 서울 가톨릭 교회의 성장과 활력을 보여줬습니다.

한국 가톨릭 교회 현황 통계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한국의 전체 사제 수는 5,721명입니다. 이 통계는 한국 사회에서 가톨릭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국적으로 가톨릭 신앙의 입지가 확대되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

서품 성사의 의미

서품성사는 가톨릭의 일곱 가지 성사 중 하나로 주교, 신부, 부제 등 세 가지 계급이 있습니다. 서품식은 주교가 안수하고 봉헌 기도를 하는 성스러운 행사입니다. 이 성사를 통해 새 사제는 주교의 협력자로 임명되어 하느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성사를 집행하는 임무를 맡게 되며, 미사를 집전하는 것이 주요 임무입니다.

다양성 강조: 새로운 사제와 그들의 역할

새롭게 서품된 사제 중에는 청각 장애인인 김동준 사제가 눈에 띕니다. 2007년 아시아 최초의 청각장애인 사제였던 박민서 사제 서품에 이어 18년 만에 청각장애인 부제가 서품된 것으로, 획기적인 순간입니다. 이번 서품은 성직자 내 다양성과 접근성을 위한 가톨릭 교회의 노력을 반영한 것입니다.

또한 이번 서품식에서는 유호준, 김용우 신부가 각각 유호영, 김용주 신부의 형제로 형제 사제가 탄생하는 등 형제 사제의 등장도 눈에 띄었습니다. 서품식의 이 독특한 측면은 행사에 가족적인 분위기를 더하며 대교구 사제 공동체 내의 강한 유대를 보여줍니다.

공동체 축하 및 향후 기여

신임 사제 서품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톨릭 공동체 전체에 있어서도 중요한 행사입니다. 이 기쁜 날을 축하하기 위해 모인 수많은 가톨릭 공동체 구성원들이 서품식에 참석했습니다. 사제 수의 증가는 서울 가톨릭 교회의 성장을 반영하며, 서품 과정에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새롭게 서품된 사제들은 서울대교구 내에서 다양한 직책으로 봉사하며 신자들의 영적 지도와 지도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들의 신앙에 대한 헌신과 부여된 책임은 신자들의 영적 삶을 가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서울대교구의 역사적인 순간

사제 1,000명 달성은 서울대교구 내에서도 축하할 만한 일입니다. 이 성과는 가톨릭교회의 성장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헌신을 보여줍니다. 서품식은 새 사제들의 신앙에 대한 헌신과 새로운 역할에 따른 책임을 수행할 준비가 되었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자리입니다.

서울대교구가 계속 번창하고 있는 가운데, 1,000명의 사제가 탄생한 것은 한국 가톨릭 교회의 지속적인 힘과 활력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이 역사적인 이정표는 희망과 신앙의 메시지를 지역 사회 곳곳에 전파하는 교회의 사명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결론적으로, 김동준 신부를 비롯한 26명의 새 사제 서품은 서울대교구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입니다. 가톨릭 신앙의 뿌리 깊은 가치와 전통, 그리고 포용성과 다양성에 대한 의지를 반영하는 행사입니다. 새로운 사제 서품을 통해 서울대교구는 앞으로도 구성원들의 영적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며 신앙의 메시지가 계속 번성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