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방문하여 노동계와의 소통을 강화하는 행보를 보였다. 이 대표는 이번 방문을 통해 노동시간 단축과 주4일제 도입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며, 노동계의 우려를 해소하고자 했다.
이재명 대표는 한국노총에서 김동명 위원장과 함께 주52시간제 적용 제외 문제 등 현안을 논의했다. 이 대표는 “최근 주52시간제 문제로 많은 분이 우려하시는데 저나 민주당 입장은 명확하다”며, “우리 사회가 노동시간 단축과 주4일 근무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반도체 특별법 토론회 당시 반도체 협회와 삼성전자 관계자들에게 새로운 주52시간 예외제도를 만들어 총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은 아니라는 확인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표는 노동계로부터 ‘우클릭’ 비판을 받았으나, 그는 “자꾸 우클릭한다고 하는데 경제성장에 집중하는 것은 민주당 역대 정권이 다 해온 일”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노동조건 개선 문제는 우리 사회의 핵심 과제이니 걱정 안 하셔도 된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은 이 대표가 노동계와의 갈등을 관리하고,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의 정치적 전략으로 해석된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와의 간담회에서 “2012년부터 민주당과 정책적으로 연대하는 과정에서 성과도 있었고 마음이 상할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내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는 결정이 나오는 대로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서로의 고민을 확인하는 자리를 가질 것을 제안한다”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사회 대개혁에 동의한다면 함께 전진하자”고 밝혔다.
이재명 대표가 민주노총을 방문한 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 대표의 우클릭을 겨냥한 비판을 직접적으로 제기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 이후 문재인 정부가 촛불 민의를 수용하지 못해서 사회가 정체하거나 퇴보했고, 윤석열이라는 괴물이 탄생했다”며, “민주당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양 위원장은 민주당이 정권 교체에 매몰되지 말고, 광장으로의 권력 교체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표는 자신에 대한 비판에 대해 “다 오해에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진화에 나섰다. 그는 “세상은 누구 편, 보수·진보 할 것 없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하는데, 갈등의 큰 요소 중 하나가 불합리성”이라며 “고쳐나가야 할 불합리”로 비정규직 임금 차별, 정규직 취업경쟁 과열, 중간 착취 등을 언급했다. 이 대표는 “누구나 똑같은 일을 한다면 반드시 정규직이 돼야 된다”고 강조하며, 일반적 상식이 정말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표는 반도체 특별법 주52시간 논란을 의식한 듯, 기업들이 “산업 전환에 적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 하면 한때 ‘빨갱이’ 이미지도 있었는데 노동이라는 단어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하고 싶은데 못 하는 것 중 하나가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꾸자는 것”이라며, “이야기해놓고도 잘 못하는 이상한 현실에 서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표는 민주노총 건물 밖에서 진행 중이던 노동자들의 시위 현장에 들러 이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그는 세종호텔 해고노동자, 한국옵티칼하이테크 해고노동자와 함께 최근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에서 470억 규모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당한 하청노동자 등과 대화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 대표는 세종호텔 해고노동자의 발언을 듣고 “내가 해결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한 번 알아보겠다”며 연락처를 적어갔다.
이재명 대표는 한화오션 손배 소송 문제를 두고 “법을 개정하든지 묘수를 내보겠다”고 말했다. 이러한 발언은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재명 대표의 이번 노동계 방문은 정치적 갈등을 해소하고,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기 위한 중요한 행보로 평가된다. 그는 노동시간 단축과 개선된 노동조건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며, 민주당의 정책 방향을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